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부터 미혼 남녀도 가임력 검사 지원! 최대 3회까지
    2025년부터 미혼 남녀도 가임력 검사 지원! 최대 3회까지

     

    2025년 부터는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20세 이상 49세 이하의 모든 남녀가 가임력 검사를 최대 3회까지 지원받을 수 있게 됩니다.이전에는 결혼을 준비 중인 부부에게만 1회 지원되었지만  이제는 미혼자도 포함되어 난소기능검사, 초음파, 정액검사 등 중요한 생식 건강 정보를 보다 폭넓게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임신 준비가 아니어도 OK! 

    보건복지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을 전면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업은 임신과 출산의 고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건강관리를 돕기 위한 지원 정책으로  기존에는 결혼 예정자 또는 사실혼 관계의 부부에게만 제공되었습니다.하지만 이제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생겼습니다.

    ✔️ 주요 변경 사항 요약

    - 지원 대상 확대: 기존 ‘결혼 예정 부부’ → 모든 20~49세 남녀

    - 지원 횟수 확대: 생애 1회 → 최대 3회 (주기별 1회)

    - 검사 항목: 여성 – 난소기능검사(AMH), 부인과 초음파 / 남성 – 정액검사

    - 검사비 지원 금액: 여성 13만 원 / 남성 5만 원 수준

     

    *(결혼,자녀 여부불문,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은 지원가능(별도비자조건없음)

     

     

     

    ✔️ 주기별 지원 기준도 알아두세요

    가임력 검사는 연령에 따른 생식 건강 변화를 고려하여 아래와 같이 주기별 1회, 총 3회까지 지원됩니다.

    - 제1주기: 29세 이하

    - 제2주기: 30~34세

    - 제3주기: 35~49세

    각 주기마다 1회씩 검사받을 수 있으니, 자신의 연령대에 맞춰 적절한 시기에 검사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국 어디서든 가능! 서울시도 참여 확정

    기존에는 일부 지자체만 참여했지만, 2025년부터는 서울시도 새롭게 합류하여 전국 17개 시·도 모두 참여하게 됩니다.

    보건소 또는 지정된 21개의 건강검진기관을 통해 간편하게 신청하고 검사받을 수 있습니다.

    왜 미혼 남녀에게도 필요한가요?

    가임력 검사는 단순히 임신 준비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난임 예방, 생식 건강 관리, 질환 조기 발견 등 다양한 건강 목적에 도움을 주는 검사입니다.

     

     

    신청 방법

    1. e보건소 온라인신청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방문 신청

    2. 신청 후 검사의뢰서를 발급받아 지정된 의료기관에서 검사 진행(신청일로부터 5일이내 확인후 결정 "주말 및 공휴일제외)

    검사 전에 반드시 신청이 필요하며,선청일로부터 3개월이내 검사,검사의뢰서 제시,의료기관 예약후 방문, 검사 후에는 1개월 이내에 e보건소 또는 보건소에서 청구해야 지원이 가능합니다. 제출서류 확인후 청구일로 부터 3개월이내 검사비지급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참여 의료기관 현황(2025.9.1.기준).pdf
    1.35MB
    [서식 제9,10,11호]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의료기관 참여 및 변경 신청서, 행정정보공동이용 사전동의서(인쇄용) (2).hwp
    0.08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