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최근 국내로 유입되는 클럽마약(케타민·MDMA·LSD 등)의 양이 크게 증가하면서, 청년층을 노린 마약 밀수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클럽마약은 주로 클럽, 파티, 유흥업소 등에서 사용되며 감각 둔화·환각·흥분 작용을 일으키고, 일부는 성범죄에 악용되는 사례도 있어 더 큰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적발 건수는 줄었는데 적발량은 폭증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1~9월) 적발된 클럽마약은 총 115.9kg으로, 2021년(15.8kg) 대비 무려 7.3배 증가했습니다.
반면 적발 건수는 같은 기간 215건 → 116건으로 오히려 줄었습니다. 이는 단순 반복 소량 밀수보다 대규모 밀수 시도가 늘었음을 의미합니다.
115.9kg은 약 232만 명이 동시에 투약 가능한 양으로 전년도 전체 적발량(79.9kg)을 이미 넘어선 수치입니다.
케타민 밀수 급증… 1kg 이상 대량 반입 뚜렷
클럽마약 중에서도 케타민의 급증이 가장 두드러집니다.
- 2021년: 5.9kg
- 2025년(9월): 101.9kg
약 17배 증가한 셈이며, 특히 1kg 이상 대량 밀수 적발 건수는 같은 기간 1건 → 15건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주요 반입 경로와 발송국
반입 경로
- 특송화물: 51.4kg
- 여행자 수화물: 41.8kg
- 국제우편: 8.0kg
전체의 90% 이상이 특송 또는 여행자 수화물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주요 발송국
- 프랑스: 57.1kg
- 영국: 11.8kg
- 독일: 10.8kg
관세청은 유럽 기반 국제 마약조직이 새로운 시장 확보를 위해 한국으로의 밀반입을 적극 시도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국제적 경고… 동아시아로 유입 확대
UNODC(유엔 마약범죄사무소)와 INCB(국제마약통제위원회) 보고서에서도 최근 케타민 등 클럽마약이 동아시아 전반으로 확대 유입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한국은 도심 유흥가·파티 문화 등을 통해 청년층 사이에서 확산 속도가 빠른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관세청 “청년층 표적한 범죄… 국경 단계 차단 강화”
관세청은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클럽마약 밀수가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국경 단계에서의 마약 차단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강화 방안
- 유럽·동남아 등 주요 발송국과 국제 공조 강화
- AI 기반 우범 여행자·위험 화물 분석 시스템 고도화
- 특송화물·국제우편 대상 집중 검사 확대
- 밀리미터파 검색기, 라만분광기, 이온스캐너 등 첨단 탐지장비 확충
관세청장은 “청년층을 겨냥한 클럽마약 밀수는 매우 심각한 범죄행위”라며 “국경 단계에서 마약이 유입되지 않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