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실 청소를 매일매일 열심히 해도 이상하게 냄새는 조금씩 나더라고요, 샤워 끝나고 문 열자마자 올라오는 그 특유의 냄새... 진짜 은근히 스트레스죠. 저도 처음엔 물 때나 곰팡이 때문에 그런 줄 알고 바닥이며 , 벽, 세면대까지 락스 들고 구석구석 다 닦아봤거든요. 근데 며칠만 지나면 또 슬금슬금 올라오는 그 쉰내... 너무 답답하고 싫었어요. 혹시 나만 그런가 싶었는데, 나중에 보니까 우리 집만 그런 게 아니더라고요 다들 한 번씩 겪어 밨다 하더라고요. 그래서 이번에야 제대로 알아봤어요. 대체 왜 냄새가 계속 나는 건지, 또 어떻게 해야 없어지는지요.
청소했는데도 냄새나는 진짜 이유
냄새 원인이 꼭 눈에 보이는 곰팡이나 때만은 아니더라고요. 알고 보니까 ‘배수구 트랩’이라는 곳에 물이 말라버리면 하수구 냄새가 그대로 올라온대요. 저도 처음엔 이게 뭔 소리인가 했는데요, 배수구 안쪽에 물을 항상 조금 고여 있게 해서 냄새를 막아주는 장치가 있대요. 근데 욕실을 며칠 안 쓰거나, 바닥이 건조해지면 그 물이 그냥 증발해 버린다고 하더라고요.
저희 집도 잘 안 쓰는 욕실 하나 있는데, 거기서 냄새가 계속 나는 거예요. 청소도 했고 방향제도 놨는데 계속 올라오길래 이상하다 싶었죠. 그러다 우연히 지인한테 이 트랩 얘기를 듣고, 물 한 컵 붓고 문 닫아놨더니... 그날 이후로 냄새가 뚝 멈췄어요. 너무 허무하면서도 신기했죠. 지금은 일주일에 한 번씩 물만 부어줘요. 너무 간단하더라고요. 평소엔 잘 안 보이니까 신경을 안 썼는데 중요하더라고요, 특히 여름철처럼 기온이 높을 때는 더 관리가 필요한 거 같아요.
표면만 닦아서 안 되는 경우도 있어요
청소할 때 배수구 덮개만 툭툭 닦고 끝낸 적 많으시죠? 저도 늘 그랬어요. 근데 어느 날은 마음먹고 덮개를 들어서 안쪽까지 봤는데... 와, 진짜 충격. 머리카락이랑 뭔지 모를 미끈한 찌꺼기들이 엉켜 있더라고요. 비누 찌꺼기, 샴푸, 린스 같은 게 배수구 안에 달라붙어서 그게 썩으면 냄새가 난대요. 겉만 닦으면 당연히 해결이 안 되는 거죠. 그래서 지금은 일주일에 한 번, 뜨거운 물 끓여서 붓고 베이킹소다랑 식초도 넣어서 청소해 줘요. 별 거 아닌 것 같은데, 진짜 냄새 확 줄어들어요. 방향제보다 이게 더 낫더라고요. 솔직히 처음엔 귀찮았는데, 한 번 하고 나면 속이 다 시원해서 이제는 오히려 습관처럼 하게 돼요. 지금은 주기적으로 물만 붓는데 , 그것만으로도 효과가 있어요.
틈새에서 나는 냄새도 있어요
저는 욕실 실리콘 틈새에서 냄새나는 것도 몰랐어요. 벽이랑 바닥 만나는 부분에 곰팡이처럼 뭐가 자꾸 생기길래 락스로 몇 번 닦았는데도 자꾸 다시 생기더라고요. 그게 다 벌어진 틈 사이로 물이 들어가서 곰팡이나 세균이 자라는 거래요. 나중엔 도저히 안 돼서 실리콘을 통째로 다시 쏴달랬더니 그 뒤로 냄새가 싹 사라졌어요. 겉으로 보기엔 깨끗해 보여도, 냄새는 꼭 안 보이는 데서 나더라고요. 그러니까 평소에 대충 닦고 ‘왜 또 냄새나지?’ 하지 말고, 한 번쯤은 꼼꼼히 안쪽까지 들여다보면 좋아요. 저도 그런 거 모르고 몇 년 썼으니까요. 혹시 새는데 없는지 확인도 해보세요.
습관만 조금 바꿔도 냄새 확 줄어요
지금은 샤워 끝나고 바닥에 남은 거품이나 머리카락 같은 거 그냥 방치 안 하고요, 샤워기로 한번 쓱 헹궈줘요. 그리고 배수구에 거름망도 꼭 쓰고요. 이게 진짜 효과 좋아요. 몇 천 원짜리 하나 사두면 머리카락 덜 막히고 냄새도 덜해요. 깔끔한 거 좋아하시는 분들에겐 필수예요. 또 저는 이제 주말마다 베이킹소다 반 컵, 식초 반 컵 배수구에 붓고, 조금 있다가 뜨거운 물로 헹궈줘요. 냄새뿐 아니라 세균에도 효과 좋다니까 왠지 마음도 놓이고요. 욕실 냄새가 없어지니까, 아침에 씻을 때 기분도 확실히 달라지더라고요. 욕실 냄새 때문에 매번 스트레스였는데, 이제는 조금만 신경 쓰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는 걸 알았어요. 청소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어디서 냄새나는지’를 먼저 아는 거더라고요. 저처럼 몰라서 괜히 청소만 열심히 하지 마시고, 이번 주말에 배수구 트랩에 물 한 컵 부어보세요. 그 한 컵이 의외로 큰 변화를 줄 수도 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