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농협은행 해외송금, 4년간 캄보디아로 3배 급증…보이스피싱 위험 신호?
    농협은행 해외송금, 4년간 캄보디아로 3배 급증…보이스피싱 위험 신호?

     

    최근 4년간 농협은행을 통한 캄보디아 송금액이 약 3배 이상 증가하면서, 금융당국과 정치권이 보이스피싱과 조직범죄 자금 유출 통로로 악용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송금, 4년 새 3배 증가

    국회 농해수위 위원장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협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캄보디아로 송금된 금액은 매년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1년: 368억 원
    2022년: 459억 원
    2023년: 942억 원
    2024년: 1038억 원
    2025년 9월 기준: 이미 798억 원 도달

    총 4년간 2만 건 이상, 약 3600억 원이 농협은행을 통해 송금됐고, 이 중 88%가 한국인 송금이었습니다.

    보이스피싱과 조직범죄 연관 가능성

    특히 2023년 이후 지급정지된 계좌가 31건에 이르러, 납치·협박형 보이스피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최근 캄보디아에서는 한국인을 타깃으로 한 국제 범죄 조직이 활동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농협은행, 54억 들인 방지 시스템…실효성 논란

    농협은행은 2020년부터 금융사기 방지 시스템 구축과 센터 운영에 54억 원을 투자했지만, 보이스피싱 피해는 여전합니다.

    피해 건수: 8807건
    피해 금액: 1366억 원
    환급액: 217억 원 (환급률 15.9%)

    사후 대응보다는 사전 감지와 차단 시스템의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논란된 해외 기부 단체 후원도

    농협은행은 2022~2023년 사이, 캄보디아 현지 단체인 AFESIP에 5000만 원(3만7000달러) 기부했는데, 이 단체는 과거 창립자 '소말리 맘'이 피해자 허위 증언을 조작한 이력이 있어 국제사회에서 논란이 있던 곳입니다.

    제도 개선과 감시 필요성 커져

    어기구 의원은 “캄보디아로 향하는 송금은 보이스피싱 및 범죄 자금 유출의 통로로 악용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해외계좌 실명 확인과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을 철저히 재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농협은행의 해외 기부금 관리 투명성 역시 강화되어야 할 시점입니다.

    반응형